선정그룹에 국문학자·일본사 전문가 참여
(도쿄=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오는 4월 1일 발표될 일본의 새 연호(年號)가 이례적으로 중국 고전(古典) 의존도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연호 선정을 관장하는 일본 정부(내각관방) 관계자는 13일 국회 답변에서 선정 절차에는 높은 식견을 가진 전문가들이 참여한다며 국문학자와 일본사학자도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14/AKR20190314064900073_01_i.jpg)
국문학자는 일본어 전문가이고, 일본사학자는 일본 고대 역사서인 고사기(古事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정통한 학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전의 연호 선정 과정이 한문학자와 동양사 전문가를 중심으로 이뤄졌던 것과 비교해 달라진 부분이다.
이 때문에 올 5월 1일 시작되는 나루히토(德仁·59) 일왕 체제의 새 연호는 중국 고전이 아닌 일본 역사서에 등장하는 글자를 발췌해 제정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일왕의 통치기를 세분하는 명칭으로 활용되는 연호는 주역 등 중국의 고전에서 주로 발췌해 한문 두 글자로 만들었다.
이 과정에선 크게 6가지를 고려한다.
우선 쓰거나 읽기에 쉬워야 한다. 또 과거에 사용된 적이 없어야 하고, 옛 연호를 다시 쓸 수 없다.
이전 덴노의 시호(諡號, 사후에 공덕을 칭송해 붙인 이름)도 제외 대상이다.
현 아키히토 일왕의 연호인 헤이세이(平成)부터는 영문자로 표기될 때의 머리글자가 어떻게 되는지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전의 메이지(M), 다이세이(T), 쇼와(S)와 구분하기 위해 H가 영문 머리글자로 표기되는 헤이세이로 결정됐다는 것이다.
따라서 나루히토 새 일왕의 연호로는 M, T, S나 H가 머리글자로 표기될 수 없는 한자가 선정될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본칙(本則) 기준으로 달랑 31자로 이뤄져 일본 법률 가운데 2번째로 짧은 원호법에 따라 새 연호 제정 작업은 내각을 이끄는 아베 총리가 전반적으로 관장한다.
일본 언론은 연호 선정 전문가 그룹에 새롭게 국문학자 등이 참여하기로 함에 따라 새 연호가 중국 고전이 아닌 일본 고전에서 선택될지 주목된다고 보도하고 있다.
이와 관련, 아베 신조 총리는 국회 답변을 통해 "폭넓은 의견을 수렴해 결정할 것"이라며 연호가 일본국민 생활에 깊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신경을 쓰겠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14/AKR20190314064900073_02_i.jpg)
◇ 일본의 연호는 = 일본어로 겐고(げんごう, 元號)라 하는 연호는 임금이 즉위하는 해에 붙이는 이름이다.
서기 645년 제36대 고토쿠(孝德) 일왕(덴노)의 다이카 개신(改新) 때 중국에서 이 제도를 처음 들여온 일본은 연호가 시작되는 원년(元年)을 기준으로 삼은 햇수를 아직도 공문서 등에서 광범위하게 쓰고 있다.
산케이 등 일부 우익성향의 신문 매체는 서력보다 연호 표기를 선호하기도 한다.
이전에는 한 덴노의 재위 기간에 천재지변이나 국가적으로 경축할 일이 있을 때 사회 분위기를 일신하는 차원에서 연호를 바꾸기도 했다.
실제로 제121대 고메이(孝明) 시기에는 고카(弘化), 가에이(嘉永), 안세이(安政), 만엔(萬延), 분큐(文久), 겐지(元治), 게이오(慶應) 등 7개의 연호가 사용됐다.
고메이 덴노가 21년간 재위했으니 평균 3년에 한 번씩 새 연호를 도입한 셈이다.
그러다가 일본의 근대개혁을 이룬 제122대 메이지(明治) 때부터 '1대(代)의 연호를 하나로 한다'는 일세일원(一世一元) 원칙이 정착됐다. 이를 반영한 원호법(げんごうほう, 元號法)은 1979년부터 시행됐다.
현 아키히토 일왕의 연호인 '헤이세이'(平成)는 일본 역사에서 247번째 연호다.
일본 정부는 나루히토 새 덴노의 연호를 즉위 한 달 전인 4월 1일 아베 총리 주재의 각료회의에서 확정해 공표할 예정이다.
새 연호는 오는 5월 1일 0시를 기해 적용된다.
parks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