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시작' 5·18 암매장 추정지에 발굴 인력·장비 투입
옛광주교도소 발굴 계획 승인 동시에 작업 착수…박상기 법무부 장관 현장 방문
유해 발견 시 검찰과 신원확인·발굴 주체 협의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5·18 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 소재 파악에 나선 5월 단체가 3일 옛 광주교도소 암매장 추정지에 대한 발굴작업을 시작했다.
5·18기념재단과 5월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이날 법무부가 발굴 착수를 승인하자마자 바로 곧바로 장비 배치 등 후속 작업에 착수했다.
3공수여단 등 1980년 당시 계엄군 주둔지였던 옛 교도소에서 이뤄지는 암매장 발굴은 항쟁 37년 만에 처음이다.
5·18기념재단 등은 이날 오후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재소자 농장 터에서 5·18 행불자 유해 발굴을 시작했다.
고고학 분야 전문가인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이 현장 총괄로, 문화재 출토 분야 전문 민간단체인 대한문화재연구원이 발굴사업단으로 참여한다.
5월 단체와 전문가그룹은 작업에 필요한 장비 배치를 마치면 현장에서 발굴작업 전반을 재점검할 예정이다.
5·18재단 관계자는 "발굴에 대한 법무부 승인은 지난달 13일에 전달받았고 그동안 발굴 계획과 착수 시기 등에 관한 사전준비를 했다"며 "법무부 협의도 마쳤으므로 오늘부터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발굴작업 시작에 맞춰 박상기 법무부 장관도 이날 오후 4시께 옛 교도소 암매장 추정지 현장을 방문해 발굴작업 지원을 약속했다.
옛 교도소 시설물과 토지를 소유한 법무부는 지난달 13일 발굴 사업 자체에 대해, 이날은 발굴 계획과 작업 착수를 차례로 승인했다.
5·18재단과 법무부는 지난달 31일 행불자 유해 발굴을 위해 협력하기로 업무협약을 하기도 했다.
양 측은 발굴 장소를 옛 교도소 대지로 한정했고, 유해 흔적이 나오면 광주지방검찰청이 수사할 방침이다.
재단은 장비 배치를 마치면 암매장 추정지에서 흙 표면을 덮은 콘크리트, 아스팔트, 잡초 등 각종 장애물을 오는 4~5일 이틀 동안 제거한다.
장애물 제거가 끝나면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발굴작업을 전환한다. 6일 오후 현장브리핑을 열어 자세한 계획과 일정을 언론에 공개할 예정이다.
유해를 발견했을 경우 이후 세부 계획은 아직 세워지지 않았다.
5·18재단은 광주지검과 유해수습, 신원확인 주체, 작업지속 여부를 협의할 계획이다.
재단은 박종태 전남대 법의학 교수와 윤창륙 조선대 임상 치의학 교수 등 5월 단체가 추천한 법의·치의학 전문가들이 신원확인에 나설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 현장에 있는 고고학 전문가그룹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정부기관을 대신해 유해수습을 할 수 있도록 검찰에 요청했다.
5·18단체는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 지휘관이 작성한 약도와 시민 제보 등을 토대로 옛 교도소 재소자 농장 터를 행불자 암매장지로 지목했다.
군 기록에 따르면 민간인 27∼28명이 옛 교도소 일원에서 계엄군에게 죽임을 당했다.
항쟁이 끝나고 임시매장된 형태로 발굴된 시신이 11구에 불과해 다른 희생자들은 교도소 주변에 암매장됐을 것이란 추측이 그동안 제기됐다.
h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