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못한 잔챙이 수확해도 제값 못받아…산지 농민 '한숨'
메마른 땅 비료조차 녹지 않아…관수 시설 없어 피해 확산
(옥천=연합뉴스) 박병기 기자 = "20년 넘게 감자 농사를 짓지만, 올해 같은 경우는 처음입니다. 바싹 말라붙은 밭고랑을 아무리 헤집어봤자 쓸만한 감자 구경하기가 힘들어요"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22//AKR20170622075000064_01_i.jpg)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22//AKR20170622075000064_02_i.jpg)
충북 옥천군 안내면 현리에서 3천여㎡의 감자 농사를 짓는 이승재(54)씨는 30도를 웃도는, 이른 폭염이 기승을 부리던 지난 22일 오후 뙤약볕 아래서 마른 먼지가 풀풀 날리는 감자밭을 파 일구며 한숨을 토해냈다.
예전에는 밭고랑을 조금만 들춰도 어른 주먹만 한 감자가 줄줄 쏟아져나왔는데, 올해는 혹독한 가뭄 탓에 작황이 형편없다.
이날 이씨의 밭에서 거둔 감자는 20㎏짜리 310상자. 작년 600상자를 캤던 것에 비하면 수확량이 절반으로 뚝 떨어졌다.
물기 사라진 땅에서 감자가 제대로 알을 맺지 못했고, 가까스로 알 맺은 감자도 절반 정도만 자란 상태에서 성장이 멎었다.
감자는 굵기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최근 농산물도매시장의 감자 경락가격도 1상자(20㎏)당 7천∼3만원대로 천차만별이다.
200g 넘게 무게 나가는 굵은 감자는 3만∼3만2천원씩 팔린 반면, 100∼150g짜리 중간 사이즈는 1만5천원을 밑돈다. 100g에도 못 미치는 잔챙이는 반찬용으로 7천∼8천원씩 나간다.
이씨는 "작년에는 A급 굵은 감자가 절반 넘었는데, 올해는 중간 사이즈와 잔챙이가 대부분"이라며 "도랑 물까지 끌어다대면서 힘들게 지은 농사인데, 기운이 빠진다"고 하소연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22//AKR20170622075000064_04_i.jpg)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22//AKR20170622075000064_05_i.jpg)
인근의 강광수(67)씨 감자밭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농수로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그의 밭은 오랫동안 물 구경을 못해 감자 줄기가 폭격을 맞은 것처럼 군데군데 말라 죽었다. 살아남은 줄기도 누렇게 타들어 가면서 생기를 잃은 상태다.
강씨는 "가뭄이 얼마나 혹독한지 한 달 전 웃거름으로 뿌려준 비료가 녹지 않고 밭고랑에 그대로 남아 있을 정도"라며 "비료조차 녹지 않는 메마른 밭에서 무슨 수로 감자가 자라겠느냐"고 혀를 내둘렀다.
그는 작년 이 밭에서 500상자의 감자를 생산해 400만원이 넘는 돈을 손에 쥐었다. 씨감자 파종 뒤 석 달 만에 거둬들이는 농사치고는 제법 쏠쏠한 수입이었다.
그는 해마다 감자를 캐낸 밭에 메주콩을 심는 이모작 농사를 짓는다. 그러나 올해는 콩 파종은 고사하고, 상품성 잃은 감자의 처분을 놓고도 고민이 깊다.
강씨는 "기껏해야 달걀 크기인 감자는 애써 수확해도 인건비조차 건지기 어렵다"며 "알 굵은 감자만 골라내 출하한 뒤 잔챙이를 이웃이나 친지에게 나눠줘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돈도 안 되는 작업에 기운 빼느니 주변에 인심이나 쓰겠다는 얘기다.
이 지역은 충북에서 손꼽히는 감자 산지 중 한 곳이다. 200여 가구가 25㏊의 감자 농사를 짓는 데, 절기상 하지(夏至)가 되면 일제히 수확에 나서 농협을 통해 출하한다. 장마가 시작되기 전 수확하는 '하지 감자'다.
지난해 이 지역 대청농협의 감자 출하량은 500t에 달했다. 그러나 최악의 가뭄이 이어지는 올해 출하량은 30%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대청농협 한영수 조합장은 "지난 주말부터 감자 수매를 시작했는데, 하루 들어오는 물량이 작년의 70% 선에 그치고 알 굵은 감자가 없어 시세도 형편없다"며 "다음 달 15∼16일 축제를 열 계획인데, 행사에 쓸 물량이나 충분히 나올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올해 이 지역에는 151㎜의 비가 내렸다. 작년 강수량(349㎜)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적은 양이다. 지난달 이후로는 두 달 가까이 비다운 비가 내리지 않으면서 밭작물을 중심으로 가뭄 피해도 확산되는 상황이다.
당국은 예비비 등 4억원을 풀어 관정개발에 나서는 등 한해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사업이 규모 큰 과수원이나 시설채소 재배장 위주로 이뤄지고 있어 감자·옥수수·콩 등을 재배하는 소규모 농가는 별다른 혜택을 보지 못한다.
한 조합장은 "감자나 옥수수밭은 관수시설을 갖춘 곳이 드물어 가뭄이 길어질수록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고 설명했다.
bgi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