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애플의 비밀 연구소…정체 '발각'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애플의 비밀 연구소…정체 '발각'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애플이 수년 전부터 극비리에 스위스 취리히 소재 연구실을 개설해 생성형 AI 모델 연구를 해온 것으로 보인다. 연구인력은 경쟁사인 구글에서 많이 빼 온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수년간 애플의 공개채용 자료와 신입 직원 프로필, 전문가들의 연구논문 등을 분석한 결과 구글에서 최소 36명의 AI 인력을 영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인력들은 애플이 스위스 취리히에 세운 AI 머신러닝 연구실에서 일하고 있다.

애플은 지난 2018년 AI 담당 임원으로 구글의 존 지아난드레아를 영입한 것을 시작으로 AI 분야 구글 출신 인력을 주로 채용했다.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넷플릭스, 메타 등에서 온 인력도 있지만 단일 기업 출신으로는 구글이 가장 많다.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교의 럭반굴 교수는 애플이 가상현실 기술기업 페이스쉬프트와 이미지 인식 회사 패쉬웰 등 현지 AI 스타트업 2개 사를 인수하면서 취리히에 '비전 랩'이라는 연구소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소 직원들은 오픈AI의 챗GPT 같은 제품을 구동하는 기반 기술을 연구해 왔다. 이 연구소 직원들이 쓴 논문은 텍스트와 시각적 입력을 통합해 질문에 응답하는 첨단 AI 모델을 연구한 것들이다.

현지의 이웃들도 연구소 존재조차 모를 정도로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연구소는 생성형 AI 분야 인재를 구한다는 구인 광고도 하고 있다.

기술기업 업계에서 AI 분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서도 애플은 자사의 AI 개발 계획에 대해 공개하지 않았다.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애널리스트들에게 "애플이 다양한 AI 기술을 연구해왔고 첨단 기술에 대해 책임감 있게 투자하고 혁신하고 있다"는 정도만 밝혔다.

2016년 애플이 인수한 퍼셉추얼 머신스의 창립자 루슬란 살라후티노프는 FT에 "그 무렵 애플은 꽤 많은 연구원을 찾고 있었고 이런 모델을 훈련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