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517/B20220517100642967.jpg)
㈜엔젤로보틱스가 B2C시장 확대를 위해 인터넷 기반의 웨어러블 로봇 플랫폼 개발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에 착수한 웨어러블 로봇 표준 플랫폼(Wearable-robot Standard Platform, WaSP (와스프))은 5G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며 다양한 서비스 개발이 용이하고, 수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는 일종의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가 모두 포함된 비즈니스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플랫폼 사업과 대비된다.
엔젤로보틱스의 창업자이자 대표이사인 공경철 KAIST 교수는 "웨어러블 로봇의 시작은 병원에서의 재활치료지만, 그 마지막은 일상에서의 근력증강"이라며 "B2C 웨어러블 로봇의 핵심은 극단적으로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유연한 제품군과 서비스에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본격적으로 인터넷 기반의 웨어러블 로봇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517/B20220517100650433.jpg)
엔젤로보틱스는 인터넷 기반의 웨어러블 로봇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하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산업핵심사업을 통해 4년간 60억원의 지원을 받는다. 플랫폼의 구성요소 중 인터넷망은 ㈜엘지유플러스, 클라우드는 ㈜인텔리코드에서 담당하며, 대부분의 기술개발과 제품화는 엔젤로보틱스에서 담당한다. 이외에도 ㈜네메시스,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이 컨소시엄에 참여했다.
엔젤로보틱스 관계자는 "엔젤렉스 메디컬의 의료기기 인증을 마친 이후 2019년 신촌세브란스 재활병원을 시작으로 종합병원, 지역 재활전문병원, 요양병원과 복지관 등 전국 20여곳에 보급해 왔다"며 "웨어러블 로봇을 활용한 재활치료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