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91.05

  • 7.88
  • 0.31%
코스닥

756.32

  • 7.04
  • 0.94%
1/3

지구 충돌 직전 사라진 2m 소행성…NASA 시스템 포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지난 11일 오후 10시 23분 북극해의 노르웨이령 화산섬 `얀 마이엔`(Jan Mayen) 남서쪽 상공에서 약 2m 크기의 소행성이 대기권에 충돌하며 사라졌다.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지 못하고 소멸하는 이런 작은 소행성의 충돌은 흔해 주목받지 못하지만 `2022 EB5`로 명명된 이 소행성은 좀 더 특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에 충돌하기 전 궤도를 파악해 충돌 위치와 시점을 정확히 파악한 다섯 번째 소행성이기 때문이다.

16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2022 EB5는 충돌 2시간 전 헝가리 북부 `피스케스테퇴 천문대`에서 처음 파악해 국제천문연맹(IAU) 소행성센터(MPC)에 알렸으며, 곧바로 MPC의 지구근접 천체 추가 관측 목록에 올랐다.

MPC 목록을 자동 검색하게 설계된 NASA의 소행성 충돌위험 평가 시스템인 `스카우트`(Scout)가 초기 관측 자료를 토대로 궤도를 계산한 결과, 지구 대기권에 충돌할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지구근접천체연구센터`(CNEOS)를 비롯한 관련 기관에 긴급 공지해 추가 관측이 진행됐다.

스카우트는 처음에 그린란드 서부 상공에 충돌할 것으로 예측했다가 추가 관측이 진행되면서 충돌 위치를 노르웨이 연안 상공으로 수정했으며, 최종적으로 그린란드 동부에서 약 470㎞ 떨어진 얀 마이엔 섬 상공의 대기권에 충돌할 것으로 예측했다.

2022 EB5는 너무 작아 대기권 충돌 당시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불꽃이나 폭음을 형성하지는 않았지만, 초저주파탐지기를 통해 스카우트가 예측한 위치와 시간에 충돌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구로 접근해올 때 관측한 자료와 초저주파탐지기로 측정한 에너지를 토대로 2022 EB5는 약 2m를 넘지 않은 작은 소행성으로 밝혀졌다.

이런 크기의 소행성은 밝지 않아 지구에 근접하기 전에는 관측이 어렵다.

CNEOS를 이끄는 폴 코다스 소장은 "2022 EB5처럼 작은 소행성은 무수히 많으며, 10개월에 한 번꼴로 대기권에 충돌한다"면서 "하지만 이런 소행성은 지구에 근접하기 전까지는 매우 희미하고, 관측 시점과 방향까지 맞아떨어져야 포착할 수 있어 극히 일부만 충돌 전에 발견돼 관측된다"고 설명했다.

지구에 충돌하기 전 소행성을 관측한 것은 2008년 10월 수단 상공에 충돌한 2008 TC3이 처음이다. 약 4m 폭의 이 소행성은 대기권에 충돌하며 수백 개의 작은 운석으로 조각나 누비안 사막에 떨어졌다.

2022 EB5는 충돌 전 관측된 소행성으로는 다섯 번째이지만 지구근접 천체에 대한 관측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NASA는 2022 EB5의 크기가 작아 지상에 닿지 못하고 사라졌지만 지구방어 훈련을 하는 데 도움이 됐으며, 소행성 충돌위험 평가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는 기회가 됐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