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7.92

  • 11.11
  • 0.42%
코스닥

773.04

  • 0.61
  • 0.08%
1/4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통제 '여전'

관련종목

2025-02-19 09:02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우리나라에 지방자치 제도가 도입된 지 벌써 2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중앙 정부나 정치권의 입김이 과도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지방분권을 요구하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목소리를 홍헌표 기자가 담아왔습니다.

    <기자>
    전국 지방자치단체 대표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지방자치단체장들은 정치권을 향해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방안들을 4.13 총선 공약에 반드시 반영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단체장들은 또 지난 1995년 도입된 지방자치 제도가 20년이 넘도록 자리를 못 잡고 있는 것은 중앙 정치권의 지나친 영향력 행사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시장, 군수, 구청장 등 기초단체장에 대한 정당공천제는 즉시 폐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인터뷰> 염태영 수원시장(전국시군구협의회 사무총장)
    "이번 같은 국회의원선거때 기초의원들은 그 지역의 동단위 선거운동원일 뿐이다. 잘하지않으면 다음번에 공천이 없다는 것이다. 주민에 의해 뽑히는건 형식이다."
    이에 기초단체장을 뽑을 때 정당공천제를 폐지해 주민들에게 선택권을 줘야한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조충훈 순천시장(전국시군구협의회 대표회장)
    "주민을 위한 지방정치가 실종되는 것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정당공천제를 폐지해 지방선거가 정당을 위한 선거가 아니라 주민을 위한 선거가 되도록 해야한다"
    현재의 중앙집권형 헌법을 `지방분권형 헌법`으로 개정하자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중앙정부가 일일이 지자체 일을 결정하는 구조는 부작용이 많아 지자체가 책임지고 일을 할 수 있도록 지방분권형으로 헌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열악한 지방재정을 늘리고 급증하는 복지수요에 대처할 수 있도록 지방소비세율과 지방교부세율을 더 늘려야한다고 요구했습니다.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장들은 기자회견 직후 각 정당 대표실을 방문해 ‘공동호소문`을 전달했습니다.
    한국경제TV 홍헌표입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