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달라진 박원순 "도시공간 혁신하겠다"

관련종목

2024-06-02 01:11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달라진 박원순 "도시공간 혁신하겠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박원순 서울시장이 민선 6기를 맞아 앞으로 4년 동안의 핵심정책을 담은 밑그림을 내놨습니다.
    지난 민선 5기 때 생활체감형 정책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앞으로 4년은 서울의 겉모습을 바꾸겠다는 구상입니다.
    엄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박원순 시장이 생활밀착형 정책에서 서울의 외관을 바꾸는 정책으로 선회했습니다.
    <인터뷰>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민선 5기에는 소프트웨어 분야 혁신의 성과가 있었습니다.
    이제 도심 차도를 축소한다거나 서울역 고가를 시민 문화공원으로 조성한다든지 하드웨어인 도시공간의 혁신도 적극 추진해갈 것입니다."
    우선 4대문안을 `보행자 친화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2018년까지 청계천, 대학로, 세종대로 등 지하철이 밀집한 12개 도로에서 1∼2개 차도를 줄여 총 15.2㎞의 차도를 없애기로 했습니다.
    서울의 미래 먹거리인 `창조경제와 관광산업`을 위해 실버산업의 거점인 홍릉 스마트에이징클러스터, 융합기술 거점인 개포 디지털 혁신파크 등의 인프라를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코엑스~잠실운동장 일대의 MICE 개발을 본격화하기로 했습니다.
    임대주택 8만호 공급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기 핵심정책이었던 `뉴타운 출구전략`은 `도시재생`으로 확대됩니다.
    이를 전담하는 도시재생본부를 설치하고 앞으로 4년간 2조원이 투입됩니다.
    지난 2006년 철거하기로 결정했던 세운상가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의 첫 번째 케이스로 되살아납니다.
    서울시는 오는 20일까지 온라인과 정책박람회 등을 통해 시민의견을 수렴하고 11월 중 시정 계획을 최종 확정지을 예정입니다.
    25개 핵심과제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예산은 8조 3천억원.
    이 중 대부분은 중기재정계획에 이미 반영돼 실제 추가로 드는 예산은 3조 8백억원으로, 서울시는 국비지원과 기존 예산 절감 등을 통해 신규재원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내실에서 외면으로 시정방향을 180도 바꾼 박원순 시장.
    이 시정방향에 대해 시민들은 어떤 평가를 내릴 지 궁금합니다.
    한국경제TV 엄수영입니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