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호화 청사 활용법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7.17149995.1.jpg)
물가가 오르고 이자가 뛰는 데다 세금까지 늘면서 서민들은 삼중고를 겪고 있다. 명목 임금은 소폭 늘었다고 하지만 인플레이션 탓에 실질 소득은 감소하는 추세다. 이런 상황에서 청사를 예비부부에게 개방하는 것은 작지만 의미 있는 생활 복지가 될 것이다. 이런 방안은 현장에 널려 있다. 지역 내 초등학생들에게 하교 후 저녁밥을 제공하는 ‘어린이 전용 식당’이 좋은 예다. 서울 강동구는 집에 홀로 있는 아이들 식사 때문에 일손을 놓고 허겁지겁 퇴근하는 맞벌이 부부 등을 위해 한 끼 2500원만 받고 자녀들에게 저녁을 주는 실험을 하고 있다. 학부모들로부터 ‘체감 효과 최고인 진짜 복지’라는 열렬한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한다.
퍼주기 대신 생활 복지로
올해 전체 예산 639조원 가운데 사회복지 분야 예산은 205조8000억원으로 3분의 1을 차지한다. 지난 5년간 연평균 11.6%에 달할 정도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추세다.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비 비중은 57.2%에 달한다. 평균 재정 자립도가 45.3%에 불과할 정도로 파탄 난 살림에 돈을 살포하는 현금 복지 경쟁은 도를 넘고 있다. 소풍비, 효도비, 심지어 청년 탈모비 지원까지 종류만도 2000가지가 넘는다. 그런데도 국민들의 주관적 복지 만족도는 주요 선진국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는 분석이다.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현금 살포식 복지는 지속 가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체감도도 낮다는 것이다.국민들이 체감하는 서비스 중심의 생활밀착형 복지를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복지 만족도는 돈의 규모가 아니라 국민의 가려운 곳을 얼마나 긁어주느냐에 달려 있다. 일상생활과 밀접한 복지 서비스가 만족도가 높고 정부와 지자체에 대한 긍정적 평가로 이어진다는 것은 검증된 정설이다. 아이디어는 일선 공무원에게서 나온다. 여기서 굳이 공무원의 경쟁력이나 탁상행정, 복지부동을 조장하는 성과 보상 시스템을 언급할 필요조차 없다. 월급을 주는 주인인 국민에 대한 세심한 관심과 애정이 요구되는 문제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