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스러운 것은 경기 하락세가 뚜렷해지면서 정책적인 대응이 완화적인 기조로 전환할 것이라는 점이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생산·소비·투자 지표가 일제히 악화하면서 리커창 총리는 16일 주재한 회의에서 재정 및 통화정책 지원과 원자재 가격을 안정시킬 것임을 재확인했다. 하반기 성장률 5%대 유지와 원자재 가격 하향 안정화가 타깃이 될 것이다.
또 하나의 화두는 정부의 소란스러운 기업 규제다. 올 들어 중국 주식시장이 경험하고 있는 것은 시진핑 정부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것이다. 정책당국의 기업 규제 조치는 플랫폼, 빅테크를 넘어 기초산업과 서비스 업종까지 영향력을 확대해 중국식 자본주의의 새로운 길이 열리고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새로운 산업정책 패러다임의 골자로 ‘민생, 법치, 국가 경쟁력 제고’를 제시하고 있다. 중국의 산업지도는 육성, 법치 정비, 규제에 따라서 큰 틀의 변화가 시작되는 것이다. 시 주석의 불균형 축소, 부의 재분배, 민생과 중산층 중심 정책은 인기영합이라는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국가가 주도해 부가가치 배분을 기업에서 소비자로 이전하는 정책은 기업의 이익 규모로 환산되는 주식시장에는 위협 요인이기 때문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AA.27329297.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