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9/ZA.23723153.1.jpg)
7일 제10호 태풍 '하이선'에 1명이 실종되고 5명이 다쳤다. 주민 124명이 이재민이 됐고, 경주 월성원전 터빈발전기 2기가 정지되는 등 시설피해도 700건을 넘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하이선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이날 오후 4시30분 기준 실종 1명, 부상 5명으로 집계됐다.
강원 삼척시 신기면에서 이날 오전 석회석 업체 직원인 40대 남성이 석회석 채굴 후 철수하다 배수로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고, 부상에서 강풍으로 차량이 뒤집히면서 주민 1명이 경상을 입는 등 5명이 다쳤다.
이 외에도 하이선 피해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부산 해운대구에서는 시신 1구가 발견돼 태풍과의 연관성을 조사 중이다. 이재민은 71세대 124명이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경북 경주 92명 △강원 삼척 6명 △부산 3명 등이다. 이재민 중 67명은 아직 귀가하지 못했다.
인명피해 우려가 있어 사전·일시대피한 인원은 1824세대 2632명에 이른다. 이 중 739명은 미귀가 사태다.
시설 피해는 공공시설 366건, 사유시설 358건 등 모두 724건으로 늘었다. 아직 집계가 진행 중이어서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시설 중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 2·3호기 터빈발전기가 이날 오전 8시 38분과 9시 18분께 차례로 가동을 멈췄다. 중대본은 낙뢰로 인해 보호계전기가 작동하면서 터빈발전기가 자동정지됐다고 밝혔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9/ZA.23723080.1.jpg)
이밖에 도로침수 50건, 사면 유실 3건, 항만시설 파손 9건, 가로수 쓰러짐 등 기타 303건의 공공시설 피해가 발생했다.
사유시설 피해는 주택 침수·파손 106건, 어선 파손·침몰 76척, 양식장 피해 29곳, 차량침수 3건, 간판 등 기타 시설 파손 144건 등으로 집계됐다.
정전피해도 속출했다. 대구, 울산, 경북, 부산 등에서 모두 7만5327세대의 전기가 끊어졌고, 이 가운데 66%에 해당하는 4만9643세대에서 응급복구가 완료됐다. 나머지 2만5594세대는 아직 복구 중이다.
도로·철도 통제와 항공기·여객선 결항도 잇따랐다. 대구·강원·부산 등에서 도로 51곳의 통행이 제한됐고, 영동선 영주∼강릉 구간 등 철도 3개 노선의 열차 운행도 중지됐다.
여객선 운항은 91개 항로 118척 전체가 통제됐고 항공기는 공항 11곳에서 284편이 결항했다. 지리산·경주·한려해상·속리산 등 국립공원 21곳의 607개 탐방로도 출입이 금지됐다.
소방당국은 29건의 인명 구조활동을 펼쳐 92명을 구조했다. 인력 6846명과 장비 1883대를 동원했으며, 1641건의 안전조치를 했다. 102곳에서 1140t 규모의 급·배수지원도 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