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가운데 올해 기업분할로 정몽진 KCC 회장, 정몽익 KCC 수석부회장, 정몽열 KCC건설 사장 등 오너 2세 3형제의 지배 구도가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2/AA.21855673.4.jpg)
전방산업 글로벌 침체가 ‘최대 리스크’
KCC는 올초 실리콘, 도료, 건자재 등을 중심으로 하는 KCC와 유리 바닥재 인테리어 등 사업을 하는 KCC글라스로 기업분할을 완료했다. 분할 후 이달 중순 발표한 KCC의 지난해 연간 잠정 실적은 큰 폭의 하락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매출은 2조7196억원으로 11.7%, 영업이익은 1336억원으로 33.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인수한 모멘티브의 지분법평가손실 2591억원을 반영하면서 당기순손실액은 전년도 231억원에서 2299억원으로 895% 급증했다.
그동안 전방산업의 다양한 분포로 인한 안정적 수익모델이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독(毒)’이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KCC 핵심사업인 건자재부문의 영업환경은 올해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주택 수주물량 감소로 건설회사에 납품하는 B2B(기업 간 거래)뿐만 아니라 개인 리모델링 시장의 성장 둔화에 따른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까지 약세를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 17일 KCC의 신용등급을 투자등급 최하위인 ‘BBB-’에서 투기등급 ‘BB+’로 강등했다. S&P는 “KCC 핵심사업부인 건자재 부문의 올해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영업이익에 감가상각비, 판매관리비 등을 합친 금액)이 작년보다 6%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자동차 조선 등에서도 경기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2/AA.21854208.1.jpg)
KCC가 주력 사업으로 키우기 위해 인수한 모멘티브의 실적도 기대 이하다. KCC는 지난해 5월 특수실리콘과 첨단소재 분야 글로벌 기업인 모멘티브를 SJL펀드, 원익큐엔씨와 함께 총 3조6000억원을 들여 인수했다. 이 과정에서 KCC가 부담한 순차입금은 약 2조5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국내 신용평가업계는 추정했다.
KCC는 반도체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기 위해 인수했지만 이는 양날의 검이 됐다. 실리콘 원자재인 석영의 글로벌 가격 변동성이 커진 데다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하면서 모멘티브의 실적 전망은 밝지 않다. S&P는 지난해 모멘티브의 EBITDA가 2018년보다 20~30%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하며 올해도 실적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모멘티브 실적은 KCC의 재무제표에 반영될 예정이다.
박소영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모멘티브 인수로 실리콘 사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사업을 다각화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치열한 글로벌 경쟁과 경기변동성에 더 많이 노출되는 부담도 커졌다”고 평가했다.
기업분할 이후 오너 2세 3형제 간 사업영역의 교통정리작업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첫째인 정몽진 KCC 회장이 B2B 중심의 KCC를 총괄하고, 둘째인 정몽익 KCC 수석부회장이 KCC글라스를 책임지는 구조가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정몽익 수석부회장이 최대주주인 코리아오토글라스가 이번 기업분할 과정에서 KCC글라스에 편입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셋째인 정몽열 KCC건설 사장은 오래전부터 KCC건설을 독자적으로 경영해왔으며, 30%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구도에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