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우리은행 완전 민영화 해 넘길 듯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금융위 "예보 잔여지분 연내 매각 힘들어"
공적자금관리위원회 6명 임기만료
시장 수요조사도 못한 상태



[ 이태명/안상미 기자 ]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잔여지분 매각 작업이 결국 해를 넘길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1차 지분 매각을 통해 ‘절반의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의 완전 민영화는 내년 이후로 미뤄지게 됐다.

9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예보의 우리은행 잔여지분(18.52%)을 연내 매각하는 게 사실상 어렵다고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10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 6명의 임기가 동시에 끝나는데 후임 인선 및 업무보고 등 일정을 감안할 때 연내 매각을 추진하는 것은 어려울 전망”이라며 “잔여지분 매각을 위한 본격적인 시장 수요조사에도 시간이 걸린다”고 전했다.

예보는 지난해 11월 보유 중인 우리은행 지분 51.06% 가운데 29.7%가량을 IMM PE(프라이빗에쿼티), 한국투자증권, 한화생명, 동양생명 등 7개 투자자에 나눠 팔았다. 지난 10년간 ‘통매각’(경영권 지분 일괄매각)을 고집해 네 차례나 매각이 실패했다는 판단에 따라 우리은행 지분을 최소 4% 이상씩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으로 방향을 틀었다. 금융위는 1차 매각을 마친 뒤 예보의 잔여 보유지분도 최대한 빨리 팔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지난 5월 정권이 교체되면서 우리은행 완전 민영화는 늦춰지고 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국내외 주요 정치·경제 현안이 불거지면서 우리은행 잔여지분 매각은 우선순위에서 밀렸다. 우리은행 지분매각을 논의해야 할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 6명의 임기가 10일로 끝나면서 의사결정은 또다시 미뤄졌다.

잔여지분 매각이 지연되는 이유는 더 있다. 잔여지분 매각 이후 7개 과점주주로 구성된 지배구조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대표적이다. 우리은행은 IMM PE, 한국투자증권, 한화생명, 동양생명, 키움증권 등 5개 과점주주가 사외이사를 파견해 의사결정을 내리는 ‘집단경영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기존 과점주주 지분(4~6%)보다 적은 물량을 희망수량 공개입찰이나 블록세일(장외 대량매매)로 팔 수 있지만, 새로운 대주주가 언제든 등장할 수 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달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과점주주 이익 등을 고려해 매각방안을 논의하겠다”고 한 것도 이런 우려를 감안해서다.

우리은행 주가 상승으로 새 투자자를 찾기도 쉽지 않다. 지난해 우리은행 1차 지분매각 때 매각가는 주당 1만1800원 정도였다. 하지만 이후 우리은행 주가는 지속적으로 올라 지난달 말엔 1만7850원을 기록했다. 주가가 오르면서 콜옵션이 행사돼 예보 지분율은 18.52%로 줄었다.

일각에선 지주회사 전환을 우선 추진한 뒤 예보가 잔여지분을 매각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태명/안상미 기자 chihiro@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