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공급망 혼란에 기업들 재고전략 딜레마 직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공급망 혼란에 기업들 재고전략 딜레마 직면
적시생산이냐 비상대비냐 선택 갈림길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전 세계적인 공급망 혼란이 발생함에 따라 기업들이 재고 규모를 어느 수준으로 유지해야 할지를 두고 딜레마에 빠졌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발발해 수요가 급감하자 일부 기업들은 재고가 남아돌아 적지 않은 재고비용을 부담해야 했다. 하지만 공급망 정체가 시작되고 수요가 되살아나자 많은 재고가 오히려 이득이 됐다.
이에 기업들은 재고를 최소화하는 '적시생산'(just in time) 전략을 취할지 아니면 만약의 경우(in case)에 대비해 재고를 비축하는 '비상대비'(just in case) 전략을 취할지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고 저널은 전했다.
적시생산 방식을 취해 재고를 최소한으로 가지고 가면 최근과 같은 공급망 혼란 사태에 생산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일본의 닛산자동차와 미국의 펩시코 등 주요 기업들이 수십년간 유지돼왔던 적시생산 추세가 종말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기도 하다.
그렇다고 재고를 많이 비축하면 그에 따른 대가도 만만치 않다. 많은 재고를 유지하게 되면 자본이 묶이게 되고, 재고를 관리할 공간과 인력도 필요하다. 보험에도 가입해야 한다. 유통기한이 있는 제품을 파는 회사의 경우에는 특히 부담된다.
일단 기업들은 재고를 많이 가지고 가는 방안을 채택했다.
시장분석업체인 'S&P 글로벌마켓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금융업과 같이 물질적 재고가 없는 업종을 제외한 S&P500 회사들의 재고량이 올 2분기에 2019년 동기 대비로 15% 증가했다. 이는 또한 코로나19 이전 10년간 평균보다 53%나 높은 수준이기도 하다.
하지만 많은 기업은 교역 여건이 정상화되면 재고를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낮추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고 저널은 전했다.


pseudoj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