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뱅 공모, 주택거래 등에 은행권 7월 가계대출 10조↑
7월 기준으로 사상최대…주택담보대출 6.1조↑ 신용대출 3.6조↑
한은 "주택·공모주·생활 자금 수요 많아 증가세 크게 둔화하기 어려울 것"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김유아 기자 = 주택 매매·전세 관련 자금과 공모주 투자 자금 수요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가계대출이 10조원 가까이 또 늘었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천40조2천억원으로 6월말보다 9조7천억원 증가했다.
앞서 5월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공모주 청약 관련 대출이 상환되면서 이례적으로 1조6천억원 줄어든 이후 다시 2개월째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졌다.
7월 가계대출 증가폭(9조7천억원)은 4월(16조2천억원)보다 작지만 6월(6조3천억원)과 비교하면 더 커졌다. 7월 증가액 기준으로는 2004년 통계 집계 이래 최대다.
가계대출 증감을 종류별로 보면,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잔액 758조4천억원)이 한 달 사이 6조1천억원 불었다. 6월(5조1천억원)보다 증가 속도가 빨라졌다. 전세자금 대출만 2조8천억원 늘었는데, 역시 6월(2조2천억원) 증가액을 웃도는 규모다.
신용대출이 대부분인 기타대출(잔액 280조8천억원)도 3조6천억원 증가했다. 증가 폭이 6월(1조3천억원)의 두 배 이상이다.
박성진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매매 관련 개별대출, 집단대출, 전세자금대출이 고루 늘었다"며 "기타대출에는 생활자금 수요도 있겠지만, 7월 중 공모주 청약 관련 자금 수요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카카오뱅크, 에스디바이오센서, HK이노엔 공모주 일반 청약을 앞두고 신용대출이 급증했다가 상당 부분 상환됐지만, 일부 상환되지 않은 대출이 기타대출 통계에 잡혔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박 차장은 향후 가계대출 추세에 대해서는 "7월부터 시행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효과, 주택시장 상황, 가계부채 총량 관리 강도, 대출금리 추이 등이 복잡하게 작용하는 만큼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다만 현재로서는 주택매매, 전세 관련 자금 수요와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를 위한 기타대출 수요, 코로나 관련 생활·사업자금 수요 등이 여전히 많기 때문에 가계대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 대출도 지난달 15조2천억원 늘었다. 6월(10조3천억원)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은행권에서의 전세대출과 집단대출 확대 등 영향으로 7조5천억원 불었고,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도 7조7천억원 증가했다.
기업의 7월 말 기준 은행 원화 대출 잔액은 1천33조5천억원으로 6월보다 11조3천억원 늘었다. 월 증가액이 6월(5조1천억원)의 두 배를 넘어섰다.
중소기업 대출이 개인사업자 대출(4조2천억원)을 포함해 한 달 새 9조1천억원 불었다. 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의 금융지원, 부가가치세 납부 관련 자금 수요 등이 영향을 미쳤다. 대기업의 은행 대출 잔액도 2조3천억원 증가했다.
여신(대출)이 아닌 은행의 수신 잔액은 7월 말 현재 2천32조9천억원으로 6월 말보다 2조5천억원 늘었다.
수신 종류별로는 언제라도 빼서 필요한 곳에 쓰기 쉬운 단기자금 성격의 수시입출식예금에서 6조5천억원이 빠져나갔지만, 정기예금(1조3천억원)과 은행채(2조3천억원) 등은 불었다. 수시입출식예금 감소의 배경으로는 부가가치세 납부를 위한 기업계금 인출 등이 꼽혔다.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7월 한 달간 30조4천억원 증가했다. 특히 국고 여유자금과 은행자금이 다시 유입되면서 머니마켓펀드(MMF)가 27조1천억원 불었다.
국고채 3년, 10년물 금리의 경우 지난 10일 기준으로 1.43%, 1.92% 수준이다. 6월 말과 비교해 각 0.02%포인트(p). 0.17%포인트 낮아졌다.
박 차장은 "국고채 금리는 국내외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확산과 미국 국채금리 하락, 외국인 국채선물 순매수 등의 영향으로 장기물 중심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shk999@yna.co.kr, ku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