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출규제 대응 R&D에 최선…어렵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
연구자 출신 김성수 과기혁신본부장, 대책 브리핑 중 눈물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과학기술인의 자존심이 걸린 문제다. 100% 만족할 수는 없겠지만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 전략 및 혁신대책' 브리핑에서 마무리 발언을 하던 중 감정이 복받친 듯 눈물을 보였다.
30년간 연구 현장을 누빈 연구자로서, 현재는 연구개발(R&D) 혁신정책을 총괄하는 공직자로서 일본의 횡포와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며 느낀 복합적인 감정이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브리핑 뒤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잘해야 한다.' 갑자기 그 생각이 났다. 말로 표현하기는 어렵다"고 심경을 밝혔다.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응한 정부의 국내 기술의 자립화 지원 방안이 담긴 이 대책은 28일 열린 확대 관계장관회의 겸 제7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됐다. 대책의 골자는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산업 소재 100개 이상을 '핵심품목'으로 지정하고 이 품목의 R&D에 내년부터 2022년까지 5조원이 넘는 예산을 투자하는 것이다.
김 본부장은 브리핑에서 국가 주력산업에 대한 R&D 투자가 더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논문이나 특허가 나오기 어려운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대해서 그간 정부의 투자가 소홀했다고도 짚었다.
그는 "언제부터인가 첨단산업, 미래산업 쪽의 R&D 예산이 많이 증가했다. '주력사업은 기업이 알아서 하겠지', '대기업 R&D를 정부가 지원할 필요가 있나' 했었다"며 "주력산업의 펀더멘털(기초)을 챙겨야겠다. R&D의 사각지대, 틈새를 꼼꼼히 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대책에는 소재·부품·장비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국가연구실과 상용화 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 시설을 지정하는 등 국가 R&D 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방안도 포함됐다.
김 본부장은 "일본 소재 기업은 주변 대학과 꾸준히 소통하며 기술경쟁력을 길러왔다"며 산·학·연 협력 체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NRL(국가지정연구실) 사업으로 10년, 15년 정도 한 분야를 집중 연구한 그룹들이 있다"면서 "국가연구실 지정은 그때의 경험을 되살려 보자는 것"이라고 대책 수립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어렵겠지만 이 문제는 꼭 해결해야겠다고 생각한다"며 "가능한 부분, 미래를 대비할 부분을 골라서 착실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재차 의지를 밝혔다.
김 본부장은 1990년부터 약 30년간 정부 출연연구기관인 한국화학연구원에서 R&D에 매진해 온 연구자다. 작년 1월부터 화학연구원장으로 재직하다 지난 5월에는 과학기술혁신본부장으로 임명됐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