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락사무소 철수했지만…판문점·軍 채널 가동중
상시 채널보다는 협의 밀도 떨어져, 당국자 "채널 계속 점검"
국정원-통전부 간 비공개 핫라인 역할 커져…최고지도자 간 소통도 가능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홍국기 기자 = 북한이 22일 개성 남북연락사무소에서 일방적으로 철수했지만, 남북 간 다른 연락 채널은 가동 중이다.
천해성 통일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성 남북연락사무소 북측 인원 철수와 관련한 브리핑을 열고 정부 입장을 밝히면서 "연락사무소 외 다른 남북채널은 정상 가동 중"이라고 말했다.
북한, 개성 연락사무소서 철수…정부 "정상운영 희망" / 연합뉴스 (Yonhapnews)
남북 간 연락 채널은 지난해 초까지 완전히 끊어졌다가 실무선에서 고위급까지 차례로 복원되면서 현재 다각적 체계를 갖춘 상황이다.
가장 먼저 열린 것은 과거부터 남북 간 의사소통에 기본적 창구가 돼왔던 판문점 연락 채널이다.
판문점 연락 채널은 상시 연락용 직통전화 2회선과 팩스 1회선, 회담용 21회선 등 33회선으로 구성돼있으며 그간 남북 간 소통에 두루 활용됐다.
북한은 지난해 1월 3일 조선중앙TV를 통해 판문점 연락 채널 복원을 예고하고, 당일 남측에 전화를 거는 방식으로 채널을 되살렸다. 이로써 2016년 2월 개성공단 가동 중단으로 끊겼던 판문점 연락 채널이 1년 11개월 만에 복원됐다. 그전까지는 남측이 전화를 걸어도 북측이 받지 않았다.
이어 서해와 동해지구에 각각 6회선과 3회선이 설치된 군 통신선도 개성공단 가동 중단 이후로는 끊어져 있었지만, 지난해 1월 9일 열린 남북고위급 회담에서 북측 대표단이 복구 의사를 알려왔다.
군 통신선은 남북 군 사이에 긴급한 연락이 필요한 때는 물론, 개성공단에 드나드는 남측 인원을 북측에 통지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곤 했다.
서해지구와 동해지구 군 통신선은 각각 작년 7월과 8월에 잇달아 복원됐다. 같은해 11월에는 남북이 10여년 만에 함정 간 핫라인도 되살렸다.
또 지난해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을 치르고 남북 사이에 특사단이 오가면서 국가정보원과 통일전선부 사이에 핫라인도 복원돼 좀 더 내밀한 논의를 위한 수단도 확보됐다.
2000년에 사상 첫 남북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국정원과 통전부의 수장을 연결하는 핫라인이 설치됐지만, 2008년 이후 남북관계가 악화하면서 사실상 단절됐다.
그러다가 국정원-통전부 간 핫라인의 복원 사실은 북한이 평창올림픽 폐회식에 참가할 고위급 인사를 비공식 접촉을 통해 남측에 알린 것으로 전해지면서 드러났다.
북한이 개성공동연락사무소 인원을 철수하고 남북관계가 악화하면서 이 핫라인의 역할은 더 커질 전망이다. 관계가 나쁠수록 공개채널보다는 비공개 채널을 통한 속 깊은 의사소통이 중요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남북한 최고지도자의 소통도 이 핫라인을 통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지난해 9월 개소한 이후 남북간 기존 연락채널이던 판문점 채널은 사실상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판문점 채널의 기술적 라인은 유지되고 있지만, 기존에 근무하던 북측의 연락관들이 개성 연락사무소로 옮겨가 근무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실제로 판문점 채널이 운영될 수 있는 상황인지는 불투명하다.
다만, 연락사무소가 개소한 이후 남측이 북측에 북한 주민 시신을 인도하는 과정에서 판문점 연락 채널이 활용된 적은 있다.
서해 군통신선과 남북 정보라인 핫라인도 정상 가동되고 있지만, 북측의 답변이 없으면 응답을 받을 수 없다. 무엇보다도 남북이 한자리에 모여 근무하는 상시 채널인 연락사무소 보다 협의의 밀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정부 당국자는 "판문점 채널이 어떻게 유지되는지 확인할 것"이라며" 기타 그밖의 채널도 있으니 계속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철운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측 인원이 상부 지시에 따라 철수한 것이기 때문에 개성 공동연락사무소 채널이 완전히 끊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남북 간 다른 채널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북한의 이번 조처에 대한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redfla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