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당시 계엄군 첩보조직 '편의대'…진상규명 요구 목소리
"시민군 행세한 군 정보요원 추정 인물도 봤다" 목격담도 나와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으로 가장해 첩보활동을 한 것으로 알려진 이른바 편의대(便衣隊)에 대한 실체 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 편의대 요원으로 추정되는 사람을 봤다는 목격담도 나왔다.
5·18기념재단은 13일 발포명령 체계 등 총체적 정보를 다뤘을 가능성이 큰 첩보조직 '편의대'에 대한 실체 확인 등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진태 5·18재단 상임이사는 "국방부 특조위가 편의대 실체를 밝혀내려고 했지만, 미완에 그쳤다"라며 "9월에 출범하는 진상규명위원회 활동 범위에 편의대 관련 조사를 포함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조 상임이사는 "편의대는 시민 집단 발포명령자 등 폭넓은 정보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며 "최소한 시민군 명단이 담긴 수첩만 확인해도 누가 5·18 유공자인지, 지금껏 행방이 밝혀지지 않은 사람은 누구인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18 기념재단은 이 편의대는 말 그대로 평상복을 입고 활동한 첩보조직으로 당시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지휘계통 최상위에 자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재단은 또 편의대가 정수만 전 5·18 유족회장이 수집한 군 기록에도 짤막하게 등장한다고 말했다.
정 전 회장이 수집한 군 문건에는 평상복으로 위장한 편의대 요원을 막지 않도록 시 외곽 봉쇄 병력에 내린 지침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1980년 5월 27일, 옛 전남도청에서 계엄군과 마지막 항전을 했던 시민군의 목격담도 나왔다.
이윤희(58·캐나다 교민) 씨는 이날 연합뉴스 통화에서 "당시 대학생인 둘째 형을 찾으러 전남 나주에서 광주로 왔다가 참상을 직접 보고 시민군에 합류했다"고 밝혔다.
그는 5월 21일 오후부터 27일 새벽 계엄군 진압 때까지 엿새 동안 전남도청에 머물렀다.
이 씨는 "금남로 집단 발포 뒤 계엄군이 외곽으로 철수한 뒤 도청에서 두꺼운 노트를 들고 다니며 시민군의 이름과 주소 등 명단을 작성하는 남자들이 있었다"라며 "이 노트에는 상당히 많은 이름이 적혀있었다"라고 말했다.
이 씨는 "명단을 작성하는 사람의 차림새와 행동이 수상쩍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군 정보원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 그 노트가 어디에 있고 왜 세상에 나오지 않는지 궁금하다"라고 강조했다.
5·18기념재단은 이 씨가 목격한 남성들이 평상복 차림으로 광주에 잠입해 시민군 정보를 수집하고 항쟁을 폭동으로 왜곡한 활동에 참여한 편의대 요원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
5·18 당시 시민군 상황실장을 맡았던 박남선 씨는 "우리가 만든 명단은 없었다"라며 "이 씨가 목격한 상황은 시민군 지휘부와 무관한 일"이라고 밝혔다.
박 씨는 "도청과 금남로 주변에서 계엄군 첩자로 보이는 사람을 여럿 붙잡기는 했다"라며 "이들을 가두거나 취조할 권리가 없어 주민등록증 소지 여부만 확인하고 모두 돌려보냈다"라고 당시 기억을 떠올렸다.
h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