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대구 인천 울산 등 6개 광역시 중 네 곳이 10년 안에 ‘소멸위험지역’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태어나는 사람보다 사망하는 사람이 훨씬 많아져서다. 지방 소도시와 농어촌에서 시작된 ‘인구 재앙’이 대도시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19일 통계청의 시·도별 장래 인구추계를 기반으로 지역별 소멸위험지수를 추산한 결과 17개 시·도 중 12곳이 2029년까지 소멸위험지역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소멸위험지역은 20~39세 가임기 여성 수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곳이다.
현재 소멸위험지역은 전남이 유일하지만 △2021년 강원 전북 경북 △2024년 부산 경남 △2025년 강원 충북 △2026년 대구 △2027년 울산 △2028년 제주 △2029년 인천이 추가로 들어온다.
부산과 인천의 옛 도심은 이미 초기 소멸단계에 들어섰다. 부산 중구(15.2%)와 동구(11.9%), 인천 중구(10.1%)에선 열에 하나는 빈집이다. 2017년 문을 닫은 인천 동일방직 부지는 3년이 다 되도록 매수자를 찾지 못했다. 부산에선 작년과 올해 9개 초·중·고교가 학생이 없어 문을 닫았다.
서민준/양길성 기자 morandol@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