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매달 1000억 이상 현금 부족

입력 2017-02-05 19:17
대우조선해양 자율협약 가능성

당장 4월부터 만기 돌아오는 회사채 9400억 갚을 길 막막


[ 안대규 기자 ] 대우조선해양이 올 들어서도 자금난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매달 현금이 1000억원 이상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오랜 ‘수주절벽’의 여파로 운영비로 나가야 할 돈이 더 많아졌기 때문이다.

5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정상적인 영업활동으로 매월 들어오는 현금이 6000억원인 반면, 운영비로 나가는 돈은 7000억원에 달해 유동성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대우조선의 유동성 위기를 가중하는 것은 오는 4월21일 4400억원을 시작으로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9400억원의 회사채다. 올해 내야 할 이자비용(2400억원)과 영업 관련 현금 부족(연간 1조2000억원)을 감안하면 총 2조3800억원(일상적인 영업활동 제외)이 올해 대우조선에서 나가야 할 현금이다.


반면 들어올 돈은 인도나 매각 협상이 조금이라도 지체될 경우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대우조선은 앙골라 국영석유회사인 소난골과 협상을 통해 인도대금 1조원가량을 3회에 걸쳐 나눠 받고 올해 6000억원을 받는다는 계획이다.

또 자회사와 자산을 팔아 올해 현금 1조3000억원가량을 확보하기로 했다. 7000억원을 들여 만들었다가 인도가 취소된 드릴십 1척을 비롯해 대우조선해양건설, 루마니아 망갈리아조선소 등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대우조선은 채권단의 남은 지원금 7000억원으로 자금 미스매칭(수급 불일치)을 겨우 해소할 정도로 유동성이 ‘일촉즉발’ 상태다.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조선이 유동성 위기에 몰릴 것에 대비해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를 본격 검토하기 시작했다. 채권단 공동관리는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이나 지금까지 자금을 지원한 수출입은행 이외 다른 은행들도 채권을 주식으로 돌리는 방식으로 고통을 분담하는 것이다. 4월부터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도 사채권자 집회를 통해 만기를 연장하고 출자전환을 해야 대우조선 생존이 가능해진다. 출자전환 대상 채권자는 우리·국민·신한·KEB하나은행, 농협 등 은행권과 국민연금관리공단, 증권사, 보험사 등 채권 투자자들이다.

일각에선 ‘채권단 주도형 법정관리’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2014년 대한조선, 2016년 STX조선해양 법정관리 사례를 참고하자는 얘기다. 대한조선은 법정관리임에도 채권단이 43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했으며, 상거래채권도 모두 변제해 협력업체의 연쇄 부도를 막았다. STX조선 역시 법정관리 중에 선주와 협상을 통해 수주 계약 취소를 최소화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