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불안감에 투자심리 위축'단기 과열' 조정 가능성 높아
박영신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yspark@hankyung.com
[ 박영신 기자 ] ‘안갯속, 시계 제로, 미분양 속출, 상승세 꺾일 듯….’
연말에 쏟아지고 있는 신년 부동산시장 전망 키워드들이다. 예년처럼 어김없이 불안을 강조한 내용이 우세하다. 전망이란 게 본시 ‘불안 대비’ 용도가 있다 해도, 판에 박은 듯 불안을 과장한 것이 많아 거슬릴 때가 있다. 자칫 ‘없는 불안’까지 만들어내 시장을 괴롭힐 수도 있어서다. 내년 부동산시장은 ‘3대 악재’가 있지만, 이미 예고된 재료여서 ‘대형 불안요소’로 작용하기보다 ‘안정적 조정요인’이 될 것이란 시각도 있다.
올해 부동산시장은 7년여 만에 모처럼 활기찬 모습을 보였다. 정부의 활성화 대책과 초저금리 및 전세난 지속 등이 맞물린 결과다. 주택거래량은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지난 11월까지 전국 주택거래량은 약 110만6000건으로, 기존 기록(2006년 108만2000건)을 훌쩍 넘겼다. 신규 아파트는 ‘불꽃 청약 열기’가 연출되면서 48만여가구가 공급됐다. 10여년 만의 최대 물량이 ? 전국 평균 청약경쟁률도 11.76 대 1로 작년의 7.44 대 1을 크게 앞질렀다.
시장의 관심은 이제 내년 전망으로 쏠리고 있다. 부동산정보업계와 언론은 3대 악재가 구체화하면서 상승열기가 꺾일 것으로 전망한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인상 압박, 정부의 대출규제 시행(내년 2월), 신규주택 공급과잉 등에 따른 부정적 파장이 적지 않을 것이란 해석이다. 가계대출 규제의 타격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신규 주택대출은 3년 정도의 거치기간이 주어졌지만, 내년 2월부터 1년 이내로 줄면서 원리금도 상환하도록 바뀐다.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 자금 부담이 커져 시장에서는 ‘거래절벽’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금리 인상 압박도 시장 열기를 식히는 ‘강한 변수’로 본다. 미국의 금리 인상 여파로 국내 금리가 오르면 현행 연 3%대인 신규주택 담보대출 이자가 더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신규 아파트 공급과잉으로 내년 하반기부터는 미분양도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부동산업계와 일부 시장전문가는 ‘과도하게 불안을 부각시킨 전망’이라고 주장한다. 민간 부동산연구기관들은 대체적으로 낙관론을 내놓고 있다. 집값도 급락하기보다 ‘상승폭 둔화’에 방점을 뒀다. 수도권의 경우 매매가격이 3~4% 오르고, 전셋값도 전국적으로 4~4.5%는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규 물량 감소도 업계가 시장 상황에 따라 자율 조정하기 때문에 미분양 급증 등은 과도한 우려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의 전망은 부동산업계의 바람이 담긴 측면이 있지만, 귀담아 들어볼 여지가 있다. 올해 주택시장 열기는 그동안 억제됐던 ‘활성화 에너지’가 자연스럽게 풀린 데서 나타난 현상이다. 신규주택 공급과잉, 정부의 대출규제, 금리인상 등의 ‘예고된 악재’가 당장의 주택시장 활기를 꺾고 경착륙으로 뒤바뀔 가능성은 높지 않다. 따라서 내년 부동산시장은 예고된 악재에 적응하면서 올해의 ‘과열 양상’이 조정되는 ‘안정기조’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 신년 경기전망에서 흔히 보여지는 ‘과도한 낙관’이나 ‘지나친 불안 부각’의 부작용은 예상 외로 심각할 수 있다. 국민 재산과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전망은 더욱 그렇다.
박영신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yspark@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