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떠나자 포위 돌파 나선 中…키워드는 남태평양·브릭스(종합)
남태평양 섬나라들과 경제·안보 협력하고 '브릭스+' 추진
(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한일 방문 이후 중국이 본격적으로 외교적 반격에 나선 모습이다.
인도·태평양 전략 아래 중국 포위망을 강화한 미국에 맞서 남태평양 섬나라들을 자국 영향권으로 끌어들이고,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외연 확대를 통해 신흥국 그룹의 '중립 지대'를 공략하려는 모습이다.
자국의 고강도 코로나19 방역 정책에 따른 물리적 한계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심화한 서방과의 갈등 속에서 올해 들어 중국 외교가 '우군 유지'에 급급했다면 이제는 조금씩 외연 확장에 나서려는 모습이 엿보인다.
우선 왕이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26일부터 6월 4일까지 솔로몬제도, 키리바시, 사모아, 피지, 통가, 바누아투, 파푸아뉴기니, 동티모르 등 8개국을 공식 방문한다.
AFP 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왕 부장 순방 계기에 중국의 수백만 달러 규모 지원, 중국과 남태평양 국가들 간의 FTA 전망, 중국 시장에 대한 접근권 제공, 안보 협력 등을 담은 '포괄적 개발 비전'을 논의할 예정이다.
왕 부장이 찾을 나라들은 경제 규모가 작은 소국들이지만 유엔에서 동등한 한 표씩을 보유한 나라들인데다 미국의 태평양 군사 거점인 괌과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한 축인 호주와 지리적으로 가까워 전략적 의미가 작지 않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글로벌타임스는 26일 왕 부장의 이번 순방은 경제, 인프라, 기후변화, 공중보건, 치안, 안보 등 많은 분야에서의 협력을 담고 있다면서 "중국의 존재가 이들 국가로부터 환영받는 이유는 중국이 현지인들의 민생을 촉진하고 각국의 경제적 잠재력을 활성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중국은 남태평양 군사 거점 확보 시도라는 서방의 의심을 일축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과 호주 등은 중국과 이들 국가 간 협력이 안보 전략 차원에서 지닌 함의를 고도로 경계하는 양상이다.
문일현 중국 정법대 교수는 2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남태평양 도서국들에 대한 중국의 접근은 "미국이 친 포위망 돌파, 대만의 외교적 입지 좁히기, 호주에 대한 견제 등 목적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대만과 수교한 14개국 중 마셜제도, 팔라우, 나우루, 투발루 등 4개국이 남태평양 도서국인데, 이들 국가가 대만과의 관계를 재고하게 만들고, 쿼드의 일원인 호주를 견제하는 것이 중국의 목표일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이 부인하고 있지만, 만약 중국 군함이 안보협정을 체결한 솔로몬제도 등 남태평양 국가에 기항할 수 있게 된다면 미국의 동맹인 호주 입장에서는 중국의 군사안보적 위협이 자국을 향해 성큼 다가오게 됨을 의미한다.
그렇게 되면 미국으로선 미-호주 동맹의 군사·안보 역량을 아시아·태평양 최대 갈등 해역인 남중국해나 대만 주변에서 대중국 견제에 집중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전문가의 예상이다.
한국 국립외교원 김한권 교수는 "남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해·공군력에 의한 군사적 위협이 나타날 수 있다면 그 지역의 미국 동맹국(호주)은 자국 안보를 우선시하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다"며 "그 경우 미국은 동맹에 대한 군사안보적 위협에 일정 수준 함께 대응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고 말했다.
또 바이든의 한일 순방(20∼24일) 전날인 지난 19일 화상으로 진행된 브릭스 외교장관 회의에서 중국이 브릭스 회원국 확대를 주장한 것은 미국과 서방의 포위 속에 중견국 그룹을 상대로 중국 외교의 외연을 확대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동참할 나라들은 아직 구체화하지 않았으나 당일 회의 계기에 열린 '브릭스 플러스(+)' 회의에 참가한 카자흐스탄·사우디아라비아·아르헨티나·이집트·인도네시아·나이지리아·세네갈·아랍에미리트·태국 등이 우선 거론되고 있다.
결국 중국은 브릭스 확대 카드를 통해 아프리카, 중동, 남미, 동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 등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갖고 있거나 미중 사이에서 '회색지대'에 있는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려는 듯 보인다.
또 중국이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협의체), 오커스(AUKUS·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 등 중국 견제에 방점 찍힌 미국 주도 협의체를 '지정학적 소그룹'으로 비판해왔다는 점에서 여러 대륙에 걸친 브릭스의 확장 시도는 미국과 차별화한 자국의 외교 노선을 선전하는데 소재로 활용하려는 포석일 수 있어 보인다.
다만 이 같은 외교 드라이브가 자국민에게 자긍심을 심어주는 국내 정치적 효과를 넘어 대미 반격으로서의 실질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도 없지 않다.
특히 동맹국 규합을 통한 미국의 압박에 직면한 중국이 '행동 대 행동'으로 맞서기 위해 남태평양 도서국들을 전략적 파트너로 삼으려 한다면 그들의 경제적 필요를 채워주는 동시에 그들을 '우군'으로 관리할 정치력과 소프트파워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 지적이다.
jh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