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용 경북도지사 공약 절반 마무리…일부 사업 성과 못내
매니페스토 공약 완료도 51%로 평가…도청 신도시 조성 갈 길 멀어
"도청 이전 가장 큰 성과…앞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에 집중"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민선 6기에 내세운 공약 가운데 3년 동안 절반 정도를 마무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원자력 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등 일부 사업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북도는 민선 3기 공약으로 7개 분야에 22개 시책 100개 단위사업을 제시했다.
김 도지사는 이 가운데 가장 큰 성과로 도청 이전을 꼽았다.
대구에 있던 도청을 지난해 2월 경북 안동으로 옮겼다.
대구와 경북이 분리한 지 35년 만이다.
도청이 들어선 안동·예천 신도시는 1단계 사업이 끝나고 2단계 공사가 진행 중이다.
초·중학교가 개교했고 아파트 4개 단지 1천776가구가 준공했다.
신도시 인구는 올해 5월 기준 4천46명이다.
하지만 정주 여건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고 인구 유입 요인이 부족하다.
2027년까지 4만가구 10만명이 사는 자족도시로 만들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기만 하다.
도청 이전으로 대구와 경북 성장축으로 대구, 구미, 포항에다 안동까지 들어가 균형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 한반도 허리경제권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자평한다.
일자리 만들기에도 주력했다.
도는 민선 6기 일자리 창출 30만 개를 목표로 잡았다.
전국 처음으로 청년취업과를 신설해 '일취월장(일찍 취직해 월급 받아 장가가자)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도내 기업 한 곳이 청년 한 명을 더 채용하는 릴레이 운동을 펼치고 있고 청년 CEO 양성, 해외 취업 지원, 중소기업과 청년 구인 구직 연결 등도 한다.
지금까지 일자리 22만3천개를 만든 것으로 자체 추산한다.
투자유치에도 집중해 17조7천억원을 끌어들였다.
글로벌 문화 프로젝트에도 힘을 쏟아 2014년 해양 실크로드 대탐험, 2015년 유라시아 친선 특급과 세계 실크로드대학연맹 창립에 이어 올해는 11월에 베트남에서 '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 2017'을 연다.
많은 국비를 확보해 미래 성장동력 토대를 마련했다.
경북이 확보한 국가 예산은 2015년 11조3천억원, 2016년 12조1천억원, 2017년 11조8천억원이다.
도는 민선 3기 공약 100개 단위사업 가운데 52개는 완료한 것으로 본다.
이 가운데 13개는 완전히 마무리했고 39개는 끝난 뒤 반복하거나 관련한 연속사업을 하는 경우다.
또 정상 추진하는 사업이 45개고 부진하거니 폐기한 것은 3개다.
전체 공약 추진 진도율은 82%에 이른다.
경북도는 "공약 가운데 임기 안에 완료하는 사업도 있고 많은 시간이 걸려 임기 후에 끝나는 것도 있다"며 "남부권 신공항 건설은 정부가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정해 폐기했다"고 설명했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가 한 '2017 전국 시도지사 공약이행 평가'에서 경북도 공약 완료도는 51%로 나왔다.
주민소통 분야에서 최고 높은 등급을 받았고 공약이행 실천계획과 초기 재정계획, 현재 재정계획 흐름도 상대적으로 잘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는 포항 철강산업과 구미 경제 활력 감소로 투자유치 30조원 달성, 수출 700억 달러 달성, 국가산업단지 활성화, 글로벌 첨단기업 유치 등에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분석했다.
또 첨단과학·에너지산업 벨트 조성, 원자력 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은 성과가 낮은 것으로 봤다.
일자리 관련 공약도 여러 가지를 내세웠으나 뚜렷하게 실적을 올리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김응규 경북도의회 의장은 "도청 일부 간부 공무원은 아직 윗선에 기분이나 맞추고 책임 의식이나 리더십이 부족하다"고 도정에 아쉬움을 표시하기도 했다.
도는 민선 6기 남은 1년 동안에도 일자리 창출에 역량을 집중한다.
특히 청년 일자리 창출에 전력을 쏟는다.
일자리 추경예산 1천억원을 편성하고 일자리 나누기 하나로 도내 30개 공공기관 93명을 목표로 주 4일 근무제를 도입한다.
신규 취업자와 정규직 전환자를 주 4일 근무제로 해 줄인 임금 20%로 400명을 추가 고용할 것으로 본다.
2030년까지 도시 청년 2천380명이 그룹으로 시골에서 관광, 6차산업 등 생산활동을 하며 정착할 수 있도록 도시 청년 시골 파견제를 시행한다.
김 도지사는 "농촌은 고령화와 공동화 문제가 심각하고 지방소멸 이야기도 나온다"며 "농업 6차 산업혁명을 선도해 청년이 돌아오는 농촌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har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