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하반기 한미 정책금리 역전 가능성…외국인자금 촉각

입력 2017-03-16 05:40
수정 2017-03-16 10:49
[美 금리인상] 하반기 한미 정책금리 역전 가능성…외국인자금 촉각

과거 미국 금리인상 시기 국내서 자금이탈

2013년 테이퍼탠트럼 땐 외국인 채권 5개월간 8조원 빠져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16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 격차가 축소됐다. 시장에서는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이 점쳐지면서 이로 인한 향후 한미 정책금리의 역전 가능성이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5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종전보다 0.25% 포인트 오른 연 0.75∼1.00%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1.25%)와의 격차가 불과 0.25% 포인트밖에 나지 않을 정도로 '턱밑'까지 따라붙은 셈이다.

앞으로 연준이 시장의 전망대로 0.25% 포인트씩 두 차례 추가로 금리를 올리면 한은의 기준금리보다 높아진다.

일각에서는 이르면 하반기에 이런 시나리오가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연준이 경기 회복에 맞춰 정책금리를 계속 올리는 반면, 가계부채에 발목을 잡힌 한은이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간다면 금리가 역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준은 이번 회의에서 올해 정책금리를 추가로 2차례 올릴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했다.

정책금리가 역전되면 국내에 유입된 외국인투자자들의 자금이 이탈할 수 있다.

외국인 투자자금이 높은 금리를 좇아 미국으로 다시 이동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과거에도 금리 역전으로 국내 금융시장이 불안감에 휩싸인 적이 있다.

연준은 2004년 6월부터 2년에 걸쳐 정책금리를 4.25% 포인트(1.0%→5.25%) 급격하게 올렸다.

이 과정에서 2005년 8월∼2007년 8월 연준 정책금리가 한은 기준금리보다 0.25∼1.00% 포인트 높았다.

앞서 1999년 6월∼2001년 2월에도 미국 정책금리가 한국보다 높았다.





금리 역전은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자금의 유출을 부채질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에 따르면 외국인들은 1999년 5∼9월 국내 주식시장에서 5개월 연속 '팔자' 행진을 이어갔고 순매도 규모는 약 5조5천억원에 달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시작된 2004년 하반기부터 2년 동안에도 외국인들은 대체로 한국 주식을 순매도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외국인자금의 움직임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천구 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이 중국의 사드 보복,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가계부채 등의 리스크(위험)와 결합하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이라며 "외국인자금의 이탈 규모가 과거보다 확대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내 금융시장은 개방도가 높아지면서 과거보다 대외 변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3년 발생한 이른바 '테이퍼 탠트럼'(긴축발작)이다.

그해 6월 당시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이 국채 매입 등으로 시중에 돈을 푸는 양적 완화 정책의 축소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신흥국 금융시장이 크게 출렁였다.

한국도 외국인자금 이탈을 피하지 못했다.

금융감독원 통계를 보면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 자금은 2013년 8월부터 12월까지 8조3천800억원 어치가 빠져나갔다.

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도 그해 1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5개월 연속 순매도를 기록했다.

noj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