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활성화 대책]①연기금 비중 확대..혁신기업 상장 유인

입력 2018-01-11 09:13
<앵커>

정부가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코스닥 시장도 장기투자가 가능하도록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 비중을 늘리겠다는게 이번 대책의 핵심입니다.

보도에 한창율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에 정부가 마련한 코스닥 시장 활성화 종합대책의 핵심은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를 코스닥 시장으로 끌어들이겠다는 겁니다.

<통CG-1 in> 코스피 개인 50%, 기관 20%, 외국인 29%: 코스닥 개인 90%, 기관 4%, 외국인 6%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 개인들은 거래 비중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단기 투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통CG-1 out>

따라서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기관투자자의 코스닥 시장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고 정부는 판단한 것입니다.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에게 세제와 금융지원을 확대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통CG-2 in>

이를 위해 국내 연기금의 코스닥 차익거래 시 증권거래세 면제를 추진하고, 연기금 기금운용평가지침을 개선해 코스닥 투자에 대한 배점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 신규 벤치마크 지수 개발과 ETF 등 다양한 상품을 출시해 연기금의 투자를 유도할 방침입니다.

<통CG-2 out>

연기금 뿐만 아니라 증권 유관기관들도 직접 시장에 자금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저평가된 코스닥 기업들을 살리고 위해 거래소·예탁원·협회 등이 참여해 3천억원 규모의 코스닥 스케일 펀드를 조성·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이 밖에도 10% 소득공제 혜택이 부여됐지만, 장외기업 투자에 한정된 '벤처펀드'에 코스닥 공모주 물량의 30%를 우선 배정하기로 했습니다.

실적이 아닌 미래성장 가능성만으로 상장 여부를 판단하는 이른바 테슬라 상장의 걸림돌 이라는 지적을 받았던 상장주관사의 풋백옵션 부담도 소폭 완화키로 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관계부처들과 협의해 올해 법 개정을 마무리고, 본격적인 시행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한국경제TV 한창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