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연 많은 동물과 소녀의 뜨거운 우정, 그리고 한국과 미국을 오가는 둘의 모험을 그린 봉준호 감독의 '옥자' 이후 넷플릭스(Netflix)가 한국인들의 다양한 넷플릭스 콘텐츠 소비 행태 분석을 발표해 눈길을 끈다.
'옥자 후 동향'을 바탕으로 국내 회원들이 선택한 콘텐츠는 무엇인지 흥미로운 결과들에 대해 분석해봤다. 옥자 이후, 국내 회원들은 넷플릭스 라이브러리에서 자신들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직접 찾아 나섰다.
그 중 선호도가 높았던 대표 콘텐츠들은 '70년대쇼'를 비롯해 '그레이스 앤 프랭키', '더 랜치', '마스터 오브 제로', '보잭 홀스맨', '블랙 미러', '빌리언스', '빨강 머리 앤' '샌드 캐슬', '아는 형님', '워 머신', '앱스트랙트' 등(배열: 가나다 순)으로 드라마, 액션, 코미디에서 영화, TV쇼 등 복합적인 장르와 콘텐츠들이 사랑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옥자를 본 후 옥자와 달리 전혀 생경하다고 느낄 수 있는 서스펜스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나 '미니멀리즘: 비우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같은 다큐멘터리를 즐긴 회원들도 의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플릭스는 방대한 양의 라이브러리에 파묻혀 무엇을 볼지 허덕이는 회원들을 위해 사용자들의 '입맛 따라 골라 넷플릭스를 즐기는 꿀팁'을 공개했다.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옥자를 감상한 후 풍자가 가득한 유머를 찾는다면, '워 머신','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같은 타이틀을 소개한다. 그 후 '블랙 미러'나 '루머의 루머의 루머'와 같이 현대 사회의 어두운 모습을 세련되게 조명한 작품을 이어본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용감한 미자를 보고 소녀의 당찬 모습에 이끌렸다면, 어떤 시련도 용기로 맞서는 '빨강 머리 앤'을 권한다. 이후 백악관, 맨하탄, 그리고 홈즈의 베이커 스트리트에서 펼쳐지는 스마트한 뇌섹 어른들의 세계 '셜록'에 정신 없이 빠져보자. 옥자 중간중간에 들어간 봉준호 감독 특유의 소소한 웃음거리가 좋았다면 '마스터 오브 제로', '언브레이커블 키미 슈미트' 같은 성숙한 웃음이 담긴 작품을 선택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다양한 상차림이 가능한 넷플릭스 콘텐츠는 다양성을 중요시 여기는 한국인에게 반찬만큼이나 필요한 플랫폼이 아닐까 싶다. 무제한 리필이 가능한 반찬과 같이 무제한 시청이 가능한 넷플릭스. 지금 바로 시식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