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영업점, 메르스 무방비...고객·직원만 불안

입력 2015-06-05 18:12
수정 2015-06-05 19:42
<앵커>

은행과 증권사 같은 금융사 영업점에는 수많은 고객들이 방문합니다.

금융거래의 특성상 직원과의 대면이 불가피하지만 감염에 대한 대응책은 미비하다고 합니다.

당국의 안일한 대처와 업계의 눈치보기에 직원도 고객도 불안감만 커지고 있습니다. 이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오늘 오전. 여의도 일대 금융사 영업점을 방문했습니다.

“혹시 손세정제가 있나요?

<인터뷰> 금융회사A “세정제는 없습니다. 세정제는 없어요”

<인터뷰> 금융회사B “세정제 같은 것은 없구요”

<인터뷰> 금융회사C “세정제가 도착을 안해서”

기자가 방문한 20곳 가운데 11곳에 손세정제가 없었습니다. 지난달 20일 첫 감염자가 발생한 후 2주가 지났지만 아직 최소한의 대비태세도 못 갖춘 겁니다.

직원과 고객을 분리하는 투명칸막이는 고사하고, 마스크도 감염이 발생한 일부 지역에서만 이제 막 사용을 시작한 단계입니다.

이마저도 금융사마다 정책이 다릅니다.

<인터뷰> 00은행 관계자

"우리 금융사가 앞장서서 떠들 부분은 아니라고 본다. 이것은 정부에서 대응해야 되고, 금융기관이 먼저 분위기 조성할 것은 아니다"

눈치보기에만 바쁜겁니다.

금융당국의 허술한 대응도 안일한 위기의식을 갖도록 하는 또다른 원인입니다.

금융위원회는 4일 은행과 증권, 보험 등의 금융기관협회에 내방고객을 위한 대응강화를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지시사항이 없고 구두로만 전달하다보니 업권마다 제각각인 지침이 각 금융회사로 전달됐습니다.

생명, 손해보험협회가 ‘의심증상이 보이면 출근을 하지 않도록 조치하라’는 강력한 조항을 넣은 반면, 은행연합회는 개인위생 철저, 해외여행 자제, 격리계획 수립 등 몇 줄짜리 공문 한 장이 전부입니다.

증권, 자산운용업 등을 책임지는 금융투자협회도 고객의 위생체계를 확립하라는 달랑 한 장짜리 지침을 전달했습니다.

더욱이 당국은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등 일부 금융업권에는 아예 이런 요청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

"저희는 빠져 있더라구요. 얘기들은 것은 없습니다."

당국의 변명은 궁색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금융위원회 관계자

"저축은행, 여신업(카드·캐피탈 등)은 전파를 하지 않았다. (왜 안하신거죠 그쪽은?) 자체적으로 어차피하고 있는거라"

메르스 확산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불특정다수가 드나드는 금융회사 창구에서는 당국의 안일한 자세와 금융권의 눈치보기때문에 고객과 직원만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지수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