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이 여성보다 실직 전후로 자아존중감이 더 크게 하락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정은석 연구원과 사회복지학과 강상경 교수가 작성한 '실직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논문을 보면
취업 상태에서는 남성의 자아존중감 예측값이 3.16점, 여성은 3.169점이었으나
실직 상태가 되면 남성은 3.0008점, 여성 3.158점으로 남성의 자아존중감 하락 폭이 더 컸다는 것.
논문은 한국복지패널 7차,8차 자료를 사용해 실직을 경험한 사람 5,387명의 자존감이 어떻게 변했는지,
실직의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성별을 불문하고 실직을 경험한 집단은 실직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존감이 낮아졌고
이는 특히 남성에게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
강 교수는 "자존감이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라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 사회에서 실직이 여성보다 남성에게
부정적 자아상을 형성하는데 더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분석됐다.
남성이 취업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당연시되지만 여성이 취업하는 것은 사회적 역할이라
정체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강 교수는 "실직은 단순히 경제적 차원뿐만 아니라 자존감의 하락과 관련되고 이는 실직 후 적응, 재취업의 어려움으로 연결될 수 있다"며
"취업상담소나 직업훈련 기관에서는 효과적인 심리 상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며
개입 시 자아존중감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