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적 37일 김정은 의혹 '일파만파'··정신병? 대리통치?각종설 난무

입력 2014-10-10 15:17


'37일째 잠적 김정은 어디?' 건강이상설이 제기된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매년 노동당 창건 기념일(10월10일)마다 해오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를 하지 않으면서 각종 설들이 고개를 들고 있다.

특히 서방언론을 중심으로 정신병 설이 제기되고 있어, 북측의 대응에 관심이 집중된다.

김정은 제1위원장은 집권 첫해인 2012년과 작년 모두 10일 0시 군 간부들과 함께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한 바 있다.

당시 이 소식을 보도했던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오전 8시 현재 김 제1위원장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 관련 소식을 보도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달 3일 이후 공식석상에 등장하지 않은 김 제1위원장이 건강 문제로 '잠행'을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김정은이 37일째 모습을 감추자 서방언론들은 ‘김정은이 정신병을 앓고 있다’, ‘김정은 대신 여동생 김여정이 실질적으로 북한을 통치하고 있다’는 등 추측을 내놓고 있다.

CNN은 9일(이하 현지시각) 북한 전문가 마이클 그린 미 전략 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연구원의 말을 인용해 김정은이 정신병 때문에 모습을 감췄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마이클 그린 선임연구원은 방송에 출연해 “김일성과 김정일은 모두 피해망상증과 나르시시즘, 폭력에 대한 병적인 집착 등 각종 정신병을 앓았다”며 “김정은이 이러한 증상을 물려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빅터 차 미국 전략 국제문제연구소 선임 연구위원도 CNN과 인터뷰에서 김정은 대신 여동생 김여정이 임시로 북한을 통치하고 있을 가능성을 얘기했다.

빅터 차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에 아무 일도 없다고 보기에는 심상치 않은 점이 많다”며 “북한 구조상 김씨 일가의 최소한 참여 없이는 통치하기 아주 힘들다, 김여정이 한시적으로 그런(통치하는) 위치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 역시 10일 ‘김정은의 부재, 루머 소용돌이’라는 기사를 통해, 김정은 관련 여러 루머 중 하나로 북한 정변설을 언급하기도 했다.

김정은 잠적 각종 루머 급증 소식에 네티즌들은 "김정은 잠적 각종 루머 급증, 도대체 어디간거야" "김정은 잠적 각종 루머 급증, 정말 무슨일이 있긴 있는듯" "김정은 잠적 각종 루머 급증. 어디 안좋긴 한거 같은데" "김정은 잠적 각종 루머 급증, 정말 뇌사상태인가?" 등 반응을 보였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