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출금리 1%포인트 올랐다…은행권 우대금리 부활하나

입력 2021-11-22 09:30
수정 2021-11-22 11:15
올해 들어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인상 폭 중 절반은 코픽스 등 지표금리 상승분 때문이었고, 나머지는 정부의 대출 억제 압박에 따른 은행권의 우대금리 축소와 가산금리 확대에 따른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신용대출 금리의 경우 은행채 등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은행권은 금리 상승 속도가 빠르다는 여론을 의식해, 우대금리를 일부 되살리는 등의 방식으로 대출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점쳐진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9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44∼4.861% 수준이다. 지난해 12월31일(2.52∼4.054%)과 비교하면 올 들어 하단과 상단이 각 0.92%포인트, 0.807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연 2.69∼4.20%에서 3.76∼5.122%로 상승했다. 최저 금리가 1.07%포인트나 뛰었고, 최고 금리도 0.922%포인트나 올랐다. 신용대출의 경우 현재 3.4∼4.63% 금리(1등급·1년)가 적용된다. 지난해 12월 말(2.65∼3.76%)보다 하단은 0.75%포인트, 상단은 0.87%포인트 각각 확대됐다.

대출금리 상승 원인을 좀 더 들여다보면 가계대출 상품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인다. 우선,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지표금리)이 되는 코픽스는 올 들어 0.39%포인트(신규 코픽스 기준, 0.90→1.29%) 상승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대출에 쓰일 자금을 조달하는데 얼마나 비용(금리)이 들어갔는 지 나타내는 지표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하지만 같은 기간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0.9%포인트 가량 뛰었다. 약 0.4%포인트인 코픽스 상승 폭의 두 배에 달한다. 은행은 코픽스나 은행채 등 지표금리에 우대금리를 깎고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최종 대출금리를 결정한다. 나머지 금리 상승 폭 0.4∼0.5%포인트는 정부의 가계대출 총량 규제 압박의 영향으로, 각 은행이 자체적으로 우대금리를 축소하거나 가산금리를 올린 데 따른 결과라는 점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는 기준으로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를 주로 사용한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작년 말 1.546%에서 19일 현재 2.437%로 0.891%포인트 상승했다. 이 기간 약 1%포인트 수준인 실제 은행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상승 폭과 비슷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의 지표금리인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도 0.944%에서 1.658%로 0.714%포인트 상승했다. 올 들어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도 0.8%포인트 안팎 높아진 만큼, 은행에선 "시장금리 오른 만큼만 올렸다"고 할 수 있는 셈이다.

이렇게 수치로 따져보면, "은행이 대출금리를 인위적으로 너무 많이 올렸다"는 지적은 절반 정도만 사실이다. 정부가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요구하면서 은행권은 우대금리 축소, 가산금리 확대를 진행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최근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 강화에서 돌연 태도를 바꿨다. 지난 19일 8개 시중은행 여신담당 임원(부행장급)을 불러 은행의 대출·수신(예금) 금리 산정에 대한 실태를 점검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은행은 다시 당국의 입맛에 맞춰 변화할 수 밖에 없게 됐다. 가장 현실적으로 올 들어 줄여왔던 우대금리를 일부 되살리는 방안이 유력할 것으로 점쳐진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