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가 부동산 시장에 보내는 메시지는 간단하다. 중장기적으로 거주할 사람, 일할 사람이 줄어드는 만큼 주택·상가의 가치와 임대료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만 인프라가 잘 갖춰진 서울 등 핵심 지역 수요는 계속 늘면서 지역 간 집값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2016년 발표한 ‘대한민국 2050 미래 항해’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주택 보급률은 2015년 104.0%에서 2050년 139.8%로 치솟는다. 총주택 수가 총가구 수보다 1.4배 많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인구 감소가 시작되는 2030년께부터 주인 없는 집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구 감소→주택 수요 감소→주택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일본이 그랬다. 1990년대 초 생산연령인구(15~64세) 감소와 부동산 거품 붕괴가 맞물리면서 25년 가까이 집값이 떨어졌다. 일본부동산연구소에 따르면 1992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 주택가격의 누적 하락률은 53%에 달했다. 이 기간 일본 인구는 1992년 0.25% 증가에서 2016년 0.12% 감소로 바뀌었다. 빈집도 속출하고 있다. 작년 기준으로 일본 주택의 13.6%(846만 가구)가 비었다.
전문가들은 인구 감소로 인해 향후 국내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가 한층 심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컨설팅업체 EAR의 홍춘욱 대표는 “일자리가 있고 인프라가 잘 갖춰진 서울 강남 등 핵심 지역 수요는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며 “슬럼화가 진행되는 지방과의 격차는 벌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